IT14 TDD 테스트 주도 개발 TDD, 즉 테스트 주도 개발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 개발 과정을 짧은 반복 주기로 나누고 각 주기마다 자동화된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작성한 후, 이 테스트를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입니다. TDD는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Red: 실패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작성합니다. 2. Green: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최소한의 코드를 작성합니다. 3. Refactor: 코드를 개선하고 정리합니다. 장점 코드의 결함을 빠르게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리팩토링과 코드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 개발 초기 단계부터 테스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더 안정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합니다. 단점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는 데 추가적인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모든 개발자가 TDD 방식.. 2024. 3. 28. [HTTP]get방식과 post방식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GET과 POST는 이 HTT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방식입니다. 이 두 방식은 각각 다른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GET 방식 GET 방식은 주로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나 이미지, 비디오 등을 서버로부터 가져올 때 GET 요청이 사용됩니다. 데이터가 URL의 일부로 전송됩니다. 예를 들어, http://www.example.com/index.php?name=John&age=30과 같이 URL 끝에 ?를 붙이고, 그 뒤에 키-값 쌍으로 데이터를 추가합니다. URL에 데이터가 포함되기 때문에 전송할 수 있는 .. 2024. 3. 27. [AI]LLM(Large Language Model) LLM(Large Language Model)은 대규모 언어 모델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모델들은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및 자연어 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ion, NLG)과 같은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LLM은 인공 지능(AI) 및 기계 학습(ML) 분야에서 중요한 발전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특히 딥러닝 기술에 기반하여 구축됩니다. 특징 및 기능 - 대규모 데이터 학습: LLM은 인터넷에서 수집한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합니다. 이 데이터에는 웹사이트, 책, 기사 등 다양한 소스의 텍스트가 포함됩니다. - 언어 이해 및 생성: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LL.. 2024. 3. 25. 스마트 워크 스마트 워크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근무 형태를 말한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기기를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 워크의 특징 및 중요성 유연성: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업무 수행 효율성: 기술을 활용하여 업무의 효율성 증대 지속가능성: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새로운 근무 패러다임 제시 스마트 워크는 현대 사회에서 업무의 효율성과 근무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스마트워크 센터 스마트워크 센터는 근무자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이다. 이 센터는 행정안전부와 시도청이 운영하며, 다양한 지역에 위치해 있다. 스마트워크 센터의 기.. 2024. 3. 2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