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개발/IT 사전

[HTTP]get방식과 post방식

by 지구별 여행자 임탱 2024. 3. 27.
728x90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GET과 POST는 이 HTT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방식입니다. 이 두 방식은 각각 다른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GET 방식
GET 방식은 주로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나 이미지, 비디오 등을 서버로부터 가져올 때 GET 요청이 사용됩니다.
데이터가 URL의 일부로 전송됩니다. 예를 들어, http://www.example.com/index.php?name=John&age=30과 같이 URL 끝에 ?를 붙이고, 그 뒤에 키-값 쌍으로 데이터를 추가합니다.
URL에 데이터가 포함되기 때문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길이에 제한이 있습니다. 브라우저마다 최대 URL 길이에 대한 제한이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GET 요청은 브라우저의 히스토리에 기록되고, 북마크할 수 있으며, 캐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민감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OST 방식
POST 방식은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새로운 자원을 생성하거나 기존 자원을 수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폼에 입력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 POST 요청이 사용됩니다. 
데이터가 HTTP 메시지의 본문(Body)에 포함되어 전송됩니다. 이는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제공합니다.
데이터의 크기에 대한 제한이 GET 방식보다 훨씬 덜 엄격합니다. 따라서 큰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적합합니다.
POST 요청은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기록되지 않으므로, 북마크할 수 없고, 요청이 캐시되지 않습니다. 이는 민감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적합한 방식입니다.

 

'웹개발 > IT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D 테스트 주도 개발  (0) 2024.03.28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교차출저 리소스 공유  (0) 2024.03.28
프롬프트 엔지니어  (0) 2024.03.26
애자일 방법론  (0) 2024.03.26
[AI]LLM(Large Language Model)  (0)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