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대한민국 의료대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글의 중립성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주관적인 내용이나 감정적인 표현은 없는지, 고려
ko.wikipedia.org
2024년 2월 20일부터 대한민국 전국 대학 병원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에 반발하여 병원 현장을 떠나면서 시작된 의료대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저는 병원을 자주 다니지 않아 관심에 없었는데 한달 이상을 뉴스에서 떠들고 이슈가 되어 점점 궁금 해졌습니다. 어떤 일때문에 파업을 하는거고 이게 무슨 문제가 있는건지? 처음엔 의사들이 연봉이 높은데 배가 불러서 자기네 일속 챙기려고 의대정원 늘리는것에 반대한다라는 부정적 경향이 컸습니다.
파업의 배경과 원인
-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 대한민국 정부는 고령화로 인한 의료 수요 증가 및 공공의료 서비스 확대를 위해 의대 정원 확대 정책을 추진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의료계의 반발이 파업으로 이어졌습니다.
- 의료 정책에 대한 의견 불일치: 정부의 의료 정책 추진 방식에 대한 의료계의 불만이 쌓여왔습니다. 저수가 정책 유지, 의료 수가 체계의 비합리성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파업의 정당성과 문제 정의
- 전공의 측 입장: 전공의들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 증원 계획의 전면 백지화, 과학적인 의사 수급 추계를 위한 기구 설치, 수련 병원의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정부 측 입장: 정부는 의사 수 증가가 의료비 지출을 줄일 것이라고 주장하며, 의사 수와 진료비 사이의 인과관계를 부정하고 있습니다.
의료파업으로 환자들이 치료를 받지 못하고 병원 여러군데를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처음 뉴스에 비춰지는 의사들의 발언들을 보면 환자목숨보다 파업이 중요한가 하며 비난을 하게 되었습니다.
정치적인 부분으로 보면 정부가 선거 대비용으로 일부러 던진 이슈가 아닌가 하는 주장도 있습니다.
일단은 환자 입장에서는 파업이 욕먹을 만 한거 같고 의사들 입장이 어떤지는 모르겠으나 꼭 환자를 버리고 들고 일어서야 하는것인가 의문이 듭니다. 정부가 잘못한게 있더라도 환자를 더 생각해줬으면 합니다.
너무 어려운 문제고 나는 뭐가 맞는지 누가 정당한건지 답을 내리기가 어렵습니다.
빠른 시일내에 원만하게 해결되어 환자들이 치료를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퍼와서 공유하고 싶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령화 시대에 일할 사람이 없다고? (0) | 2024.03.27 |
---|---|
부활 천안함 다시 서해로... (0) | 2024.03.25 |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0) | 2024.03.21 |
카리나의 열애설과 팬덤 (0) | 2024.03.13 |
닥터슬럼프, 드래곤볼 탄생시킨 토리야마아키라 별세 (3) | 2024.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