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내장 객체는 JSP 페이지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객체입니다. 이 객체들은 서블릿 컨테이너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며,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의 JSP 페이지로 전달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JSP 내장 객체 종류
request: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
response: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응답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
out: JSP 페이지의 출력 스트림을 나타내는 객체
session: 클라이언트의 세션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
application: 웹 애플리케이션의 전역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
config: JSP 페이지의 설정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
page: 현재 JSP 페이지 자체를 나타내는 객체
pageContext: JSP 페이지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기능을 제공하는 객체
exception: 예외 처리와 관련된 객체 (error 페이지에서만 사용 가능)
이러한 내장 객체들은 JSP 페이지 내에서 스크립트릿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JSP 내장 객체 활용
JSP 내장 객체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request 객체: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파라미터, 헤더, 쿠키 등) 처리
response 객체: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응답 정보(헤더, 쿠키 등) 설정
out 객체: JSP 페이지의 출력 내용 제어
session 객체: 클라이언트의 세션 정보 관리
application 객체: 웹 애플리케이션의 전역 정보 관리
이외에도 다양한 내장 객체 메서드를 활용하여 JSP 페이지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JSP 내장 객체 활용 예시
request 객체의 getParameter() 메서드를 사용하면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파라미터 값을 받아올 수 있습니다. 또한 response 객체의
setHeader() 메서드를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응답 헤더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request 객체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파라미터 값 받아오기
String name = request.getParameter("name");
// response 객체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응답 헤더 설정하기
response.setHeader("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이처럼 JSP 내장 객체를 활용하면 JSP 페이지에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JSP 내장 객체 관련 추가 정보
JSP 내장 객체 외에도 JSP에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태그 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JSP 페이지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JSTL(JSP Standard Tag Library)은 JSP 페이지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을 태그 형태로 제공합니다.
또한 JSP 내장 객체는 서블릿 API의 객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JSP 내장 객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블릿 API에 대한 이해도 필요합니다.
'웹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recode class (0) | 2024.05.02 |
---|---|
자바 class내 tostring()과 hashcode()의 역할 (1) | 2024.05.02 |
자바 Excel라이브러리 POI 스타일 지정 (0) | 2024.04.08 |
자바 Excel 라이브러리 POI (0) | 2024.04.08 |
자바 DocumentBuilder객체로 xml파일 생성 (0) | 2024.04.08 |